서울 아파트 매입시장 1~4월 30대 부각...시세80%까지가능[현대해상아파트대출] 좋아요
안녕하세요? 하이궁금해입니다.
젊은층 아파트 선호 현상 커져…전체 주택 매입비중과 다른 앙상
강남3구는 40대, `마용성`은 30대 매입 비중 높아
올해 들어 주택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40대 장년층의 서울 아파트 매입이 다소 주춤한 사이 상대적으로 30대의 매입 비중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주택자에 대한 주택 규제가 강화되면서 무주택 실수요층이 많은 30대가 아파트 시장의 주도 세력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한국감정원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연령대별 주택·아파트 매매거래량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 40대의 매입 비중이 26.7%(2천78건)로 1위
총 7천795건 그러나 30대의 매입 비중도 26.1%(2천34건)로 40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올해 1월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해도 40대가 28.4%, 30대가 25.4%로 격차가 났다. 그러나
2, 3월 들어 30대의 매입 건수가 40대를 앞지르면서 올해 1분기(1∼3월)에는 30대의 매입비중(26.7%)이 40대(26.1%)를 앞질렀다.
2월에 30대가 40대보다 아파트를 많이 구입하였다.
3월 도 30대가 40대보다 서울 아파트를 많이 매입하였다
그러나 4월 들어 다시 40대의 매입 비중이 높아지며 30, 40대가 1, 2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양상이다.
▶ 올해 들어 서울 전체 주택의 매입 비중은 40대가 제일 많다
( 전체 주택:아파트 외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등을 포함)
ⓛ 1위: 40대가 22.0%,
②2위: 50대가 21.9%로 , ③3위 30대 18.1%로 매입비중으로 보아 30대는 아파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최근 젊은층의 아파트 선호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며 “경제적 여유가 있는 40대와 은퇴를 앞둔 50대는 아파트 외에도 임대사업 목적의 다가구나 연립, 재개발·재건축 대상 단독주택도 많이 사는 반면, 30대는 생애 첫 구입주택으로 아파트를 희망하는 경우가 늘면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입 비중이 커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
▶무주택 실수요 중심인 30대의 주택 매입이 상대적으로 활발 증거임
최근 다주택자는 물론 1주택자에 대한 대출·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1주택 이상 보유비중이 큰 40대 이상보다는 무주택 실수요 중심인 30대의 주택 매입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
▶ 40대의 매입 비중이 높은 구? 강남3구,양천구
①강남구 아파트의 경우 올해 40대의 매입 비중이 43.5%(173건)로 전 연령대를 압도했다. 이어 50대가 19.0%(76건)로 뒤를 이었고 30대의 매입 비중은 15.1%(60건)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다른 구보다 작았다.
②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34.2%, 30.8%로 40대의 매입 비중이 가장 컸다. ☞ 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권 특성상 30대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있는 중년층의 매입이 많았던 것이다. ③학군수요가 많은 양천구도 40대의 매입 비중이 32.9%로 다른 연령대를 압도 |
▶ 30대 아파트매입비중이 높은 구는 ? 마포,용상,성동,노원,도봉구
▷30대는 올해 거래된 아파트 비중은 마포구 25.3%, 성동구는 35.3%, 용산구는 30대 50대 가가 23.6%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마포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마용성 일대는 학군보다는 도심 오피스 단지와 가까워 직주근접을 원하면서 재개발 등을 통한 투자 가치도 중요시하는 젊은 직장인들이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소형 아파트가 밀집돼 있는 노원구와 도봉구도 30대 비중이 각각 30.8%, 27.1%로 40대를 앞질렀다.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아 첫 내 집 마련 지역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